전자계측

[스크랩] 왜 해외에 수출하는 제품엔 주파수를 신경써야할까?

쭈몽1 2010. 11. 13. 00:08

주파수란 무엇인가?

 

주파수를 떠나서 전기가 처음 상용화 될때를 알아야 이해하기가 싶읍니다.

 

전기가 무엇인가..

전기란  이온의 흐름입니다.

어떤 금속이 이온화 될때 이넘이 전자를 내어놓읍니다.

그 전자가 이웃에 있는전자를때리고?? 먼저 금속에 있던 그전자 가 그 충격으로  또 그옆의 전자를 때리고 때려 어떤 흐름이 발생됩니다.

그 흐름이 전기란 것입니다.

이온이 안흐른다면? 물론 전자도 안흐르겠지여..

 

그래서 갈바냐 전기 , 정전기, 번개 등을 통해 인류는 전기란 넘을 찾아내었읍니다.

 

그리하여 전기에 대한 연구가 급진전 하였고  에디슨이 백열전구를 실생활에 사용할수있을정도의 수준의 것을 발명했읍니다.

이때 니콜라 테슬라는 고차원적인 형광등 수준까지 만들었지만....

 

그때까지만 해도 교류(즉 주기가 교류하는,변하는)의 개념조차 없었고 여지껏 발견된 직류개념 뿐이었읍니다.

그래서 에디슨도 물론 직류로 모든시스템을 만들었읍니다....물론 발전기도....

하지만...하지만..

 

직류는 멀리 전송하기가 너무 힘들었읍니다. 부천발전소에서 시흥우리집에  전등하나를 키기위해서 그중간에 직류 발전소를 1~2개 지나서

와야 할정도로 먼거리 전송이 힘들었읍니다(부천-시흥 약 8~10km) 즉 비용이 엄청든다는것이죠.

그럼 직류가 왜 멀리 전송하기 힘들었을까요? 그것은 바로 저항입니다...선이 길어지면 생기는 저항..

그리고 dc 는 전압을 올리고 내리고 변경하기가 너무나 힘이 듭니다.

 

그러나 에디슨의 조수로 있던 천재과학자 니콜라테슬라는 직류의 한계를 극복하여 교류를 만들었읍니다.

그전부터 전류의 주기에 관심이 많았던 니콜라 테슬라는 주기가 빨리바뀌는(교류)전기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던터라

직류의 단점을 알고 해결하려고 하고 있었던 거죠...(테슬라코일:주기가 엄청바뀜으로써(교류) 고압전기를 생산해냄)

그리고 교류는 전압을 높이기도 쉽고 장거리 저항이 많은선에는 전압을 높여 송신하면  직류보단 효율적이란것을 안것이져.

 

그래서 에디슨과 테슬라의 직류 ,교류 싸움에서 결국 니콜라테슬라가 승리하게 되었읍니다.

 

그 책을 보니 니콜라는 에디슨을 측은하게 여겼답니다.

"바늘이 집더미에 떨어지면 에디슨은 다 뒤져서 찾아낼것이지만 나는 확률,통계 등 수학을 동원 ? 다각도로 분석해서 바늘을 찾으면 더 빠르고 확실하다.."

라고 했다니 그 얼마나 자신 이 있었는지 그 당시 위대한 발명가였던 에디슨을 가련하게 보았다네여...

 

 

그리하여 나이아가라 폭포??(맞나? 책을읽은지 좀 지아서...)에 교류발전소를 지어 수백키로 떨어진 박람회장에 전등 수백개를 밝혔답니다.

에디슨의 직류시스템으론 비용문제로 불가능했겠지여.

 

'그러나 주파수는 왜 제한을 받을까??

니콜라테슬라 천재과학자가 공부를 하다보니 아님 누가 먼저 발견 했는지도 모르나 전기의 흐름이 빨라지면(교류의흐름) 전기는 도체를따라

흘르는것이아니라 도체를 벗어나 공중으로 퍼진다는것을 알고있었읍니다.

그래서 효율적으로 전기가 전파로 안새나가고 전기줄로 다 흐를수있냐 한게 60hz이랍니다. 60hz를 찾은이유는 몰것읍니다.

70hz 도있고 80hz 도 있는데...

 

그 리 하 여..

우리는 지금도 값싼 전기를 사용하고있읍니다. 테슬라가 없었다면 우리는 우리집주변 1~2KM 주변의 직류발전소가 있어야 할것이며

그 발전소 가 내뽑는 각 공해물질을 다 마시고 살고있어야 했읍니다.  그 비용까지 물어내며...

 

그런데

 

지구의 전기는 같이쓰나 주파수는 틀립니다.

 

누가먼저 50HZ를 썻고 60HZ를 썻는지 글을 읽으면 아시겠지만

 

니콜라테슬라가 실제 살아온 미국이 60HZ가 원조이고  이념으로 분단된 공산주의 국가에선 자존심이있는지 이 주파수를 틀어버렸읍니다.

 

그래서 10HZ를 뺀 50HZ 발전기를 사회주의 국가의 거장이었던 소비에트 연방이 만들어 그 속국에 보급하였던 것이져.

 

냉전시대 소련의 속국 ,또는 그주변은 그래서 50HZ, 미국의 영향을 많이받은 우리는 60HZ, 동시에  소련영향을 많이받은 일본

 

북부는 50HZ  미국 영향을 많이 받은 남부는 60HZ 라더군여....진위는 저도 모릅니다만....그래서 일제제품 초기겄은 50/60 전환스위치가

 

다 있읍니다.ㅎㅎㅎ

 

그 리 하 여

우리 전기제작을 하는 사람은 해외 수출을 할때에는 주파수를 반듯이 물어보고 그 에 맞는 모터를 구매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겼읍니다.

 

좀 이해가 가시나여?

 

주파수가 틀려서 생기는 문제점.

모터의 경우 주파수에 따라 회전수가 틀려집니다.

60HZ 모터를 50HZ 서 돌리면 회전이 느려진다는군여.

그러니 어떤 동기와 속도 를 갖아야 하는 기계제품은 트러블이 생기겠져??????????

그럼 히타는 어떨까요?

히타는 문제가 없답니다.

 

즉 속도를 요하는 모터는 문제가 되지만 열량을 뽑는 히타는 문제가 덜 된다는것이져..엄밀히 따지면 문제가 되겠지만,,일반적으루...

 

에디슨보다 더 뛰어났던 천재과학자 니콜라 테슬라가 알려지지 않았읍니다.

무한에너지,에너지의 무료무선송신,무시무시한 전쟁무기 등등 무한한 상상력을 발휘하려고 했던 미지의 과학자...

그런 과학자가 사라진이유는????? 그것이 알고 싶으시면 음모론 검색해서 읽어보시길....

 

이 기회에 서점에 가셔서 니콜라테슬라 책을 사서 보십시요...

그 글을 읽는순간 우리는 다른고차원에  세계에 살고 있었을수도 있었다는것을 알게 될것입니다,.

출처 : 깡통의 블로그
글쓴이 : 깡통2 원글보기
메모 :

'전자계측'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  (0) 2010.11.13
[스크랩] 압력 스위치  (0) 2010.11.12
[스크랩] 릴레이  (0) 2010.11.12
[스크랩] 오실로스코프란?  (0) 2010.04.25
[스크랩] 오실로스코프 사용법 공부하기-1  (0) 2010.04.19